세금 정보

해외주식(미국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弈DADDY 2022. 11. 28. 20:17
반응형

안녕하세요 도시 사랑男입니다. ^^

 

해외주식(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tistory.com)

 

해외주식(미국주식)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안녕하세요 도시 사랑男입니다. ^^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 배당소득세 이번에는 해외주식 관련 양도소득세 및 배당소득세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국내주식은 거래수수료 이외에 양도

returnpage.tistory.com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꿀팁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제가 3년 전 처음 해외주식을 접했을 때 한참 고민을 했었는데요~ 그때 아무것도 모르고 매매를 했던 것이

 

참 후회스럽습니다. 절세 방법을 숙지하고 있었다면 몇백만 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었을 텐데요 ㅠㅠ

 

아는 게 힘! 그래서 이번엔 절세 방법을 한번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첫 번째, 배우자 증여

 

배우자에게 증여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취득 시점보다 많이 오른 주식을 배우자에게 증여하는 방법입니다. 증여받은 주식을 팔 때의

 

양도세는 증여시점을 취득일로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계산예

애플 주식 1억에 매입해서 5억까지 올랐다면 매도 시 4억 원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하나,


5억 원의 주식을 배우자에게 증여한 뒤 바로 매도한다면, 취득가액과 매도가액이 같아져


양도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원래는 증여세를 내야 하나, 현행 세법상 배우자 간 증여세는 10년간 6억 원까지

 

면제되기 때문에 양도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물론 10년 이내에 부동산 등 다른 증여액 합산이

 

6억 원을 넘어서는 안됩니다.

 

부부가 4~50년 해로한다면 6억씩 30억에 대하여 절세할 수 있다고 본다면 엄청난 절세효과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2023년부터 주식 증여에 이월과세 제도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제가 앞서 쓴 글을 참고하시면 2023년 세법 개정에 대해서 살펴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3 세법개정안 (tistory.com)

 

2023 세법개정안

안녕하세요~ 도시 사랑男입니다. 이번에는 2023년 세법개정안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제 프로필에도 언급을 했지만 투자에 대해서 관심이 많이 있는 편입니다. 그래서인지 매년 개정되

returnpage.tistory.com

위에 처럼 세법이 개정된다면, 2023년부터 취득일이 증여시점이 아닌, 원소유자의 취득 시점으로 변경됩니다.

 

그렇게 되면 이 절세 방법은 어려우니 올해까지만 유효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두 번째, 손실 확정

 

해외 주식 양도세 산정 시 수익과 손실을 합산하게 되는데요, 손익통산은 평가액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실현된 매매 차익에 대해서 따지게 됩니다. 즉 실제 매매에 따라 발생한 차익만으로 과세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평가액이 하락한 종목을 연말에 매도하여 손실액을 확정시키고 세금을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계속 보유하고자 한다면, 매도 후 다시 매수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매도한 날 재매수하면 손익통산 적용에서

 

제외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편법 방지를 위해 '워시 세일'이라는 제도가

 

있으나, 우리나라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워시 세일(wash sale) : 손실이 난 주식을 매도했다가 30일 이내 재매수한 경우 세금 공제에서 제외

 

세 번째, 수익 이월

 

손실 확정의 반대 의미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손실 확정이 절세를 위해 손실을 감내한다고 하면

 

수익 이월은 절세를 위해 수익을 잠시 미뤄두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속적으로 주식거래를 한다고

 

생각하면, 위의 방법으로 손실 확정, 수익 이월 등의 방식으로 절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미국 주식 투자할 때 양도소득세 절세하는 꿀팁 3가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