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채권(NPL) 찾는 방법
그간 쭈욱 공부해 온 NPL 부실채권, 이것을 과연 어디서 찾을 것인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 방법 1 : 유동화회사 홈페이지를 통해서 찾는 방법
◆ UAMCO(연합자산관리) : http://www.uamco.co.kr
http://www.uamco.co.kr
www.uamco.co.kr
유암코에서 하는 업무는 아래와 같습니다.
▶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상 유동화전문회사 등 부실채권의 인수 및 회수를 위한 회사의 설립 및 그 지분 또는 유▶ 동화증권에 대한 투자, 자금대여 업무
▶ 부실채권, 부실채권에 수반하여 처분되는 증권이나 출자전환 주식, 또는 구조조정대상 회사에 대한 채권이나 증권의 매입 및 매각
▶ 기업구조조정업무
▶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상의 자산관리업무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 기관전용 사모집합투자기구에 대한 투자 및 운용
▶ 산업발전법상 기업구조 개선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에 대한 투자 및 운용
▶ 재무구조 개선이 필요한 기업에 투자하여 당해 기업의 경영정상화 및 재무안정 등을 재고할 수 있는 집합투자기구에 대한 투자 및 운용
▶ 부동산 임대업
▶ 기타 위 각 호의 업무를 달성하기 위하여 직·간접적으로 관련되거나 이에 부수하는 업무
◆ UAMCO 소개
회사명 | 연합자산관리주식회사(UAMCO., Ltd) |
설립일 | 2009년 10월 1일 |
대표이사 | 이상돈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116(서소문동, 유원빌딩 4F~6F) (우)04513 |
자본금 | Capital Call 방식 1조(Loan Call 2조 별도) |
법적형태 | 상법상 주식회사 |
주주구성 |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생활,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
대표전화 | 02-2179-2400 (Fax 2401, 2402) |
매각물건은 홈페이지에서 보유자산정보를 클릭 후 담보물건, 유입물건, PF채권을 빠른 검색이나 상세검색으로 부실채권 매각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대신에이엠씨 : http://daishinamc.com
대신에이엠씨주식회사
김포 공장창고 감정가0원 매각예정금액 : 5,000,000,000원 위 치 : 경기 김포시 대곶면 석정리 8-3,-2,-14 규 모 :... MORE VIEW
daishinamc.com
◆ 대신에이엠씨 소개
설립일 | 2002.9.16. |
대표이사 | 주성균 |
자본금 | 40억원 |
임직원수 | 56명(2020.12.31.현재)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43, 18층(저동 1가, 대신파이낸스센터) |
대표전화 | 02-6712-1100 |
주주구성 | 대신에프앤아이 주식회사(100%) |
매각물건은 홈페이지에서 추천/유입물건, 일반자산소개를 클릭한 후 상세하게 물건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일반자산에서 조건검색(소재지, 감정가, 물건유형, 담당자)을 할 수 있고, 사건번호로도 검색이 가능합니다.
NPL(Non Performing Loan)(feat. 부실채권)
경매와 관련하여 공부를 하다 보니 최근에 알게 된 것이 바로 NPL이라는 용어입니다. 부실채권이라고 하는 용어인데 오늘은 NPL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 NPL(부실채권)이란? ◆
returnpage.tistory.com
◆ 농협자산관리공사 : http://www.acamco.co.kr
Loading
www.acamco.co.kr
농협자산관리공사에서 밝히고 있는 회사의 설립배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설립배경
우리나라는 1990년대 들어 WTO 출범과 OECD 가입 등으로 대내외적으로 금융자율화와 개방화에 대한 압력을 받기 시작하면서 정부 주도의 금융개혁이 추진된 바 있으나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1997년 이후 잇따른 대기업 부도사태와 IMF 체제하에서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이 급증하면서 부실금융기관의 퇴출, 부실채권 정리, 금융기관의 건전성 강화대책 등을 중심으로 한 금융산업구조조정이 강도 높게 추진된 바 있습니다.
당시 금융기관들의 부실을 정리하기 위하여 정부가 양대 축으로 설립한 기관이 예금보험공사와 한국자산관리공사였습니다. 예금보험공사는 금융기관이 뱅크 럽(bankrupt) 사태에 직면했을 때, 예금대지급과 증자지원 등을 통하여 예금자보호와 경영정상화를 지원해 주고, 한국자산관리공사는 부실금융기관의 부실자산을 매입하여 신속히 정리해 주는 정리금융기관의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지난 2001년 9월 제정된 [농협구조개선에관한법률] 에서는 이를 모델로 하여 상호금융예금자보호기금과 농협자산관리회사를 설치하는 규정을 두었습니다. 예금보험공사와 같이 조합을 대상으로 예금보험료를 납입받아 구조조정 과정에 있는 부실조합의 경영을 정상화하고 예금자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상호금융예금자보호기금이라면, 한국자산관리공사와 같이 부실조합의 구조개선과 조합 및 중앙회의 부실자산 정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된 것이 농협자산관리회사입니다.
설립목적
조합 및 중앙회, 계열사의 부실예방 및 경영개선, 부실자산(부실채권,비업무용자산)의 정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농업협동조합의 구조개선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보유자산현황를 클릭한 후 매각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방법 2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전자공시시스템
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
dart.fss.or.kr
◆ DART
①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유동화회사 상호를 넣고 검색을 하면 유동화회사의 전화번호와 담당자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② 일반적인 경매정보지에서 검색하였는데 유동화 회사의 정보를 찾지 못했을 경우 dart에서 검색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 NPL(Non Performing Lo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PL투자시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 (0) | 2023.01.31 |
---|---|
NPL(부실채권)의 매입 유형(feat. 혼합방식(입찰대리계약)) (0) | 2023.01.19 |
NPL(부실채권)의 매입 유형[feat.채무인수계약(채무자변경계약)] (1) | 2023.01.18 |
NPL(부실채권)의 매입 유형[feat.입찰참가이행조건부채권양수도계약(사후정산)] (0) | 2023.01.17 |
NPL(부실채권)의 매입 유형(feat.채권양수도계약)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