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골男입니다. 오늘 알아볼 것은 탄소중립포인트 관련 사항입니다. 최근 많이 나오는 용어이지만 다소 낯선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용어 설명부터 설명드릴게요.
■ 탄소중립이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를 막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배출량을 최소화하고, 흡수량은 증대하여 순 배출량을 '0'으로 맞춘 상태를 탄소 중립상태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활동으로 배출하게 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줄이고,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산림흡수나 CCUS로 제거하여 실질적인 배출량을 '0'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탄소중립(Net zero)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CCUS란 Carbon Captur, Utilization, Storage의 약자로,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활용 기술을 의미합니다.
만약 세부적인 사항에 대하여 궁금하신 분들은 여기
■ 탄소중립 포인트 항목 확대
환경부에서는 최근 국민들의 일상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문화 확산을 위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는 '탄소중립 포인트'의 항목(다회용 컵의 이용, 일회용 컵 반환, 폐휴대폰 반납,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과 지급 예산을 확대했습니다. 탄소 중립 포인트는 '2009년 에너지 분야를 시작으로 2020년 자동차 분야, 2922년부터는 녹색생활 실천 분야로 확대되었고, 일상생활 속에서 탄소 중립을 실천할 때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여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는 제도입니다. 녹색 생활 실천분야 '탄소중립 포인트'를 적립하려면 우선 탄소 중립 포인트제 누리집(https://cpoint.or.kr/netzero)과 탄소중립 포인트 제도에 참여한 업체의 앱이나 웹에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참여 항목별 구체적인 가입 및 포인트 적립 방법에 대하여는 한국 환경공단(https://keco.or.kr) 온라인 방송에 안내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분야별 인센티브
◆ 녹색생활 실천분야(최대 7만 원)
실천항목 구분 | 포인트 산정금액 | 실천항목 구분 | 포인트 산정금액 |
전자영수증 발급 | 100원/건 | 무공해차 대여 | 100원/km |
텀블러, 다회용컵 이용 | 300원/개 | 친환경제품 구매 | 1,000원/건 |
일회용컵 반환 | 200원/개 |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 | 100원/kg |
리필스테이션 이용 | 2,000원/회 | 폐휴대폰 반납 | 1,000원/개 |
다회용기 이용 | 1,000원/회 | 미래세대 실천 행동 | 기후행동 1.5℃운영계획에 따름 |
◆ 에너지(전기·수도·가스 절감) 분야(가구당 1명 참여, 연간 최대 10만 원)
감축률 | 전기 | 수도 | 도시가스 |
5%이상~10%미만 | 5,000포인트 | 750포인트 | 3,000포인트 |
10%이상~15%미만 | 10,000포인트 | 1,500포인트 | 6,000포인트 |
15%이상 | 15,000포인트 | 2,000포인트 | 8,000포인트 |
※ 상설시설 참여자는 개인참여자 인센티브의 4배 지급
◆ 자동차(주행거리 감축) 분야(연간 최대 10만 원)
구분 | 인센티브 산정기준 | ||||
감축률(%) | 0초과 ~ 10 미만 | 10 ~ 20 미만 | 20 ~ 30 미만 | 30 ~ 40 미만 | 40 이상 |
감축량(km) | 0초과 ~ 1천미만 | 1 ~ 2천 미만 | 2 ~ 3천 미만 | 3 ~ 4천 미만 | 4 천 이상 |
금액(만원) | 2 | 4 | 6 | 8 | 10 |
'분야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급여(feat.행복한 영아가족을 위한) (0) | 2023.02.05 |
---|---|
2023년 달라지는 제도 (0) | 2023.02.03 |
공공요금 인상(feat.난방비, 교통, 상하수도 etc) (1) | 2023.02.01 |
특례보금자리론(feat. 4%금리) (0) | 2023.01.14 |
공무원 봉급(feat.2023년 임금 인상분) (0) | 2023.01.11 |